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증권 & 주식 & 채권 & 어음 & ELS & 신탁 & 랩 & P2P 대출증권 증권 소유자나 채권자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서' 재산권을 표시하는 증서 대부분은 종이로 되어 있고, 요즘은 전자 증권도 있습니다. 예전에는 '장롱에서 증권을 발견했는데, 주식이 크게 올라 떼부자가 되었다'라는 신문 기사도 이따금씩 볼 수 있었습니다. 반대로 주식이 휴지조각이 되었다는 표현도 많이 사용합니다. 증권 자체가 재산권으로 인식되고 주식이나 채권 뿐만 아니라 상품권이나 기업의 어음, 보험증서, 수표 등을 포함하는 큰 범위입니다. 주식 증권의 일종입니다. 즉 증권이 주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생각하면 좋은데, 주식은 주식회사가 자금을 조달할 때 발행하는 증서이고, 주권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쉽게 말해 내가 번 돈을 내고 받는 증서로, 이 증서는 전자증권 형태로 눈에 보이지는 않습니다. 주식을 보유.. 더보기
[용어 정리] SOLID란? [용어 정리] SOLID란? 아무리 객체 지향 4대 특성인 캡슐화, 상속, 추상화, 다형성을 잘 한다고 해서 설계를 잘 하는것은 아니다. 물론 4대 특성의 묘미를 잘 살릴수록 설계가 좋다. 하지만 설계 원칙이라는게 엄연히 존재하고, 또 나름 중요하기 때문에 각 원칙의 맨 앞 알파벳만 따와 'SOLID'라고까지 했을까.. SOLID원칙들은 결국 자신 클래스 안에 응집도는 내부적으로 높이고, 타 클래스들 간 결합도는 낮추는 High Cohesion - Loose Coupling원칙을 객체 지향의 관점에서 도입한 것이다. 결국 모듈 또는 클래스 당 하나의 책임을 주어 더욱더 독립된 모듈(클래스)를 만들기 위함이다. 이렇게 설계된 소프트웨어는 재 사용성이 높아지고, 수정을 최소화 해도 되기 때문에 결국 유지 보.. 더보기
제로데이 공격(Zero Day Attack)이란? A매치 공기업 시험을 보다보니 ...... 제로데이 어택에 대하여 서술하라는 문제가 나온적이 있었다..... 제로 데이 어택이 뭘까 하다가.. 1월 1일 0시에 공격을 하는것이라고 답안지 썼다.... 제로데이 공격 운영체제(OS)나 네트워크 장비 등 핵심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이 발견된 뒤 이를 막을 수 있는 패치가 발표되기도 전에, 그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코드나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공격을 감행하는 수법이다. 취약점 공격의 신속성을 의미하기도 하며, 대응책이 공식 발표되기도 전에 공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처 방법이 없다는 위험성을 표현하기도 한다. 이 공격은 바이러스나 스팸의 최초 발생 보고 후 보안업체들의 대응 패치가 나오기까지 시간을 이요한 공격방식으로,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위협.. 더보기
피성년후견인 & 피한정후견인이란? 후견인? 후견인이 뭐에요? 그리고 왜 필요해요? 사람들이 지금은 다들 일상적인 사무를 처리할 능력이 충분히 있다고 생각하지만, 누구나 나이가 들면 젊었을때 했던 사무 처리를 해 줄 누군가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정신적 제약이 존재하여 자신의 사무인 재산 관리, 신상 결정 등 온전히 수행하지 못하는 사람을 보호하는 제도가 후견제도입니다. 이때, 정신적 제약의 정도에 따라 성년후견인, 한정후견인을 두게 됩니다. 후견 : 역량이나 능력이 부족한 사람의 뒤를 돌보아주는 것 피성년후견인 질병, 노령, 장애 등 사유로 사무를 처리할 능력이 지속적으로 결여된 사람으로서 가정법원으로부터 성년후견개시의 심판을 받은 자 법원이 생각했을때, 이 사람이 사무처리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 ->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질병, 노령,.. 더보기
CSS(ASS,BSS)란? 내가 알고 있는 CSS는 HTML과 같이 쓰이는 CSS(Cascading Style Sheets)였는데, 다른 CSS도 있었네.. 개인신용평가시스템(CSS : Credit Scoring System) 대출을 신청할때, 직장, 소득 등 여러 신용과 관련 된 사항을 점수화해서 대출 가능 여부 및 대출금액을 산정하는 시스템 CSS는 상품의 신용주기(Credit Cycle)에 따라 ASS와 BSS로 나뉘어진다. 신규고객에 등급을 평가해야 하는 은행들은 보유하고 있는 사전정보가 없기 때문에 신평사나 은행연합회 자료를 활용한다. 이를 ‘신청평점시스템(ASS·Application Scoring system)’이라고 한다. 신청평점시스템(ASS : Application Scoring System) 신청 당시 신청자의 .. 더보기
API & SDK 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운영체제가 응용프로그램을 위해 제공하는 함수의 집합 운영체제 :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에 위치하며, 응용 프로그램을 대신하여 하드웨어와 메모리를 관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과 디바이스를 연결해주는 역할 어떠한 응용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방법을 의미 SDK(software development kit)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도구 ex) 소스 편집기, 컴파일러 등등... 원래 API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제공하는 윈도우즈용 프로그램 개발킷을 의미 SDK안에는 개발에 도움이 될 개발 도구 프로그램, 디버깅 프로그램, 문서, API 등 있음 하지만 지금은 의미가 전용되어 API와 거의.. 더보기
압류 & 가압류 차이 압류 국가가 개인을 상대로 강제집행 절차를 직접 집행 채권자가 국가기관에 신청을 해서 강제로 다른 사람의 재산 처분이나 권리행사 등을 못하게 하는 것. 압류를 신청하려면 법원에 신청을 하고 소송을 통해 판결을 받아야 합니다. 가압류 개인이 개인을 상대로 돈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서류상 표기하는것 강제 집행 전 채무자의 재산을 묶어놓기 위한 임시조치 압류를 신청하고 소송하는 시간 동안 채무자가 가지고 있던 자산을 다른사람에게 처분하지 못하게 하는것 ex) 부동산가압류, 압류, 유체동산 가압류 등 더보기
ROE(Return On Equity)란?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 이익률으로,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즉, 기업의 수익성을 알려주는 대표적인 지수입니다. ROE의 의미 ROE가 높다는것은 단순히 이익이 높다는 의미도 있지만, 자본과 부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사용하고 있다는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5년 이상 10%이상의 ROE를 유지한다면 좋은 기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ROE가 증가하는 상황 1. 매출이 증가 2. 순이익이 증가 3. 자산이 늘어나는 것 이상으로 매출 or 순이익 증가 ROE 계산방법 당기순이익 / 자본총액 자본총액 : 자기자본(회사를 세우는데 들어간 총 돈) + 이익잉여금(그동안 장사를해서 번 돈) 당기순이익 : 회사가 1년 동안 장사를 해서 벌어들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