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가지급금 & 가수금이란 가지급금 회사에서 지출된 명확한 돈 사용처가 증빙이 안되는 지출금, 즉 영수증 처리를 할 수 없거나 금액을 정확히 산정할 수 없는 등의 증빙이 안되는 지출금 실제 현금의 지출은 있었지만, 거래내용이 불분명하거나 미확정인 경우 실무적으로 경비지출시 정규증빙을 수취하지 못하거나, 자금의 사용용도를 명확히 하지 못해 일시적인 가지급금으로 처리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법인의 특수관계자(대표이사 등)가 업무와 관련없이 법인으로 부터 인출해간 금액으로 보게 됩니다. 가수금 회사에 돌어온 돈 대표이사가 회사에 임의로 넣는돈인데 회사가 지출할 수 있는 돈 회사 자금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경우에 대표 이사가 개인 재산으로 지급하는 것 사전적 의미 : 실제 현금이 입금되었으나 거래의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거래가 온.. 더보기
새마을금고의 출자배당 & 이용고배당 먼저 출자금 통장이란? -> 새마을금고의 조합원이 되기 위해 자본금을 투자하는 통장을 말합니다. 출자금은 일반적으로 한 좌수당 1~10만원정도로 보면 됩니다.(금고별로 상이합니다) 한 좌 이상 출자금통장에 예치하면 새마을금고의 조합원으로서 일년에 한번씩 해당 금고의 수익에 반영해 배당금을 수령합니다. 배당금 지급 방식 1. 출자한 금액에 비례하는 출자 배당방식 2. 금고를 이용하는 분량에 비례해 배당하는 이용고배당방식 ex) 3만원 출자 + 고액 대출거래 + 월 임대소득 수령 계좌를 본 금고로 이용 -> 배당수익 100만원이상 1000만원 출자 -> 배당수익 34만원 참고로, 1천만원의 배당소득까지 비과세입니다. 더보기
리츠란?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소액투자자로도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부동산에 투자, 운영하고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주식회사를 의미 부동산 개발사업, 임대, 주택저당채권 등에 투자 가능하며 증권에서 성행하는 뮤추얼 펀드와 유사한 형태를 지니고 있어 '부동산 뮤추얼 펀드'라고도 불린다. 즉 개인이 투자하기 힘든 빌딩, 오피스텔, 호텔 등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부동산에 여러 투자가들의 자금을 모아서 매입 후 운용하고 수익을 되돌려주는 금융상품이다. 개인이 직접 운용하는 게 아니라 전문 운용사에 맡기다 보니, 공실 리스크가 적고 번거로운 임대차를 관여하지 않아도 된다. REITs(부동산투자신탁)는 일반 기업의 주식처럼 증시에 상장되기.. 더보기
미국 대표 지수 3대장(S&P 500, 다우지수, 나스닥) S&P 500 500개 대형기업의 주식을 포함한 지수 500개의 기업 중 대부분이 미국 기업입니다.. 맥그로-힐 계열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가 소유 및 관리를 맡고 있습니다. S&P 500은 지수 자체를 일컬을 뿐 아니라 지수에 포함된 해당 500개 기업 자체를 지칭하기도 합니다. Apple부터 Netflix까지 사실상 미국을 대표하는 회사들의 지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계산법 : 500개의 회사의 시가총액의 크기의 합계를 기준연도인 1941~1943년의 평균시가총액으로 나눈 뒤에 시준시의 지수(10)를 곱하는 시가총액 방식 한국에서 KOSPI의 시가총액이 삼성전자 움직임에 크게 반응하는것처럼, 미국도 Apple과 같은 시가 총액이 큰 회사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장점 : 시가총액식 주가지수인.. 더보기
서브프라임모기지란? 이젠 먼 과거가 됐지만, 2008년에 세계 경제에 큰 사건이 있었습니다. 바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입니다. 모기지란 단어가 왠지 우리말 같지만, 영어 단어로 ‘mortgage’이다. 여기서는 ‘주택 담보 대출’을 의미합니다. 그러면 그 앞에 붙은 서브프라임은 무슨 뜻이냐면 쉽게 말해 ‘신용이 안 좋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합치면 무슨 뜻이 될까? ‘신용이 좋지 못한 사람에게 주택을 담보로 대출한다’라는 의미가 됩니다. 조금더 자세한 이야기를 하면 2000년 초반에 미국은 IT버블붕괴, 911테러, 이라크전쟁 등으로 경기가 매우 침체된 상태였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보는 경기부양책으로 초저금리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습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것은 대부분 알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국채.. 더보기
양적완화(QE)란? 양적완화 ‘양적으로 돈을 완화한다’는 말입니다. 영어로 ‘Quantitative Easing’입니다. 줄여서 QE입니다. 사실은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내서 시중에 돈의 유통량을 확대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우리말로는 ‘현금발행강화’쯤 됩니다. 먼저 현금을 찍어냅니다. 그리고 어떻게 풀까요? 남대문시장 앞에서 선착순으로 나눠주면 좋을 텐데요. 한국은행도 가깝고요. 혹은 돈 많은 자산가가 어려운 사람 돕는답시고 헬리콥터에서 지폐를 뿌려대는 게 양적 완화일까요? 내 헛소리 안하겠습니다. 중앙은행이 시중의 채권(규모가 큰 자산 등)을 사들입니다. 이게 핵심입니다. 이렇게 현금이 생긴 정부가 시중에 돈을 푸는 겁니다. 시중에 도는 돈을 통화라고 하는데, 통화량을 늘리고 줄이는 건 중앙은행의 가장 중요한 임무 중 하.. 더보기
주식 액면분할? 액면 분할 납입자본금의 증감없이 기존 발행주식을 일정비율로 분할하여 발행주식의 총 수를 늘리는 것을 의미 즉, 액면분할이란 단순히 조식을 쪼개는것 그럼 왜 액면분할을 할까??? 액면분할 한다고 기업가치 상승하거나 하락하는게 아닌데... 액면분할을 하는이유 1. 주식 유동성 증가를 위해 -> 소액 투자자들에게 투자대상으로 접근하기가 쉬워짐 ex) A에게는 1000만원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 싶은 삼성전자 주식이 500만원이면 삼성전자 주식을 2주 밖에 못삽니다. 하지만 1/10으로 액면분할하면 1주에 50만원이라 일반인들이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2. 기업의 경영방어를 위해 -> 적대적 M&A(인수합병)에 노출되는 위험을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ex) 적대적 M&A를 위해 100만주의 .. 더보기
마이너스 금리?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라던데 마이너스 금리가 무엇일까여? “100만원 빌려줬으니 99만원만 갚으세요" 지금 세계 국채 시장에서 실제로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8월말 현재 금리가 마이너스인 세계 국채 규모는 16조8천억달러로 투자적격 국채 가운데 34%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2014년 6월 유로화 가치 하락을 유도하기 위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도입한 이후 독일과 일본 등에서 마이너스 금리 국채가 발행되기 시작했다. (중앙)은행에 돈 맡기면 이자 받는 게 아니라 보관료 내는 것 그럼 ‘마이너스 금리’가 되면 어떻게 될까요. 이론적으로는 돈을 은행에 맡기면 이자를 받는 게 아니라 오히려 돈을 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일종의 ‘보관료’처럼 말입니다. 또 은행에서 돈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