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Cofix금리란? COFIX(Cost of Funds Index) 대한민국 내 8개 은행들의 자금조달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산출되는 자금 조달 비용지수 8개 은행 : 신한, 우리, SC, 하나, 국민, 씨티, NH, IBK 즉, 은행이 예대마진을 통해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다른 누구간로부터 수많은 자금을 조달받아야 합니다. 이때 지불하는 비용이 바로 자금 조달비용입니다. ex) 고객이 은행에 넣은 예금은 은행입장에서는 고객에게 돈을 빌리는 행위입니다. 그리고 은행은 고객에게 돈을 빌린 댓가로 예금이자를 지불합니다. 이 떄 은행이 고객에게 제공한느 이자(예금금리)가 바로 자금조달비용입니다. 물론 은행이 자금을 조달받는 방법에 예금만 있는건 아닙니다. 은행은 적금, 상호부금, 부택부금, 금융채 발행 환매조건부채권, 표지어음 등.. 더보기
자기자본투자(PI) & 투자은행(IB)란? PI 금융기관이 자기의 돈을 직접 주식과 채권은 물론 부동산이나 인수ㆍ합병(M&A) 금융 등에 투자해 수익을 얻는 것을 말합니다. 자신의 돈으로 주식, 채권, 파생상품, 통화 등을 거래하는 말을 뜻하는 프랍 트레이딩(prop trading)과 비슷한 용어인데 자기자본투자는 프랍 트레이딩과는 달리 투자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투자 대상기업의 경영권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여 기업가치를 적극적으로 올리는 전략을 사용하기도 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요즘 증권사들은 수수료로 이득을 보는것보다 PI를 통한 이득을 더 선호한다고 합니다. IB 신규증권의 발행으로 장기자금을 조달하려는 자금의 수요자와 자금의 공급자인 투자자 사이를 연결하는 중개기능을 주요 업무로 하는 증권인수업자라 볼 수 있습니다. 소비자금융뿐만.. 더보기
거치식예금이란? 거치식예금 거치 : 일정기간동안 돈을 상환하지 않거나 지불하지 않는다. 즉, 거치식 예금이란 돈을 은행에 맡겨 놓고 찾지 않는 예금입니다. 이런 거치식 예금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정기예금입니다. 정기예금이란 글자 그대로 정해진 기간 동안 돈을 은행에 맡겨놓는 예금입니다. 1개월짜리 정기예금에서부터 몇 년짜리 정기예금까지 종류가 다양합니다. 일정기간동안 예금을 찾지 않는 만큼 이자는 수시입출금식 예금보다 높은 것은 당연한 이치입니다. 더보기
MCI & MCG란 MCI와 MCG 모두 주택담보대출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보통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KB시세 기준으로 70%까지 한도로 정해줍니다. 거기에 소액임대차보증금(방공제)라고 해서 방공제 금액을 빼고나면 최종적인 대출금액이 나옵니다. 소액임차보증금(방공제)란? 금융권에서 대출을 해주는 경우 소액임차인의 최우선 변제금으로 방 갯수만큼 공제한 후 대출을 해주는 제도 입니다. ex) 주택이 경매로 넘어갈 경우 임차인이 일정 요건을 맞추면 선순위 다른 담보물권자보다 최우선적으로 보증금액 중 일부를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KB시세의 70% - 방공제 금액 = 최종대출금액 KB시세란? 국민은행(구 주택은행)에서 전국의 50세대 이상의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대상으로 하여 실거래 가격이나 매매사례비교법을 통하여 조사하여 발.. 더보기
경상수지란? '경제적으로 항상 있는 일로 발생한 수지타산' -->>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고 파는 것. 쉽게 말해서 위라나가 외국에 산 물건보다 판 물건이 많으면 경상수지가 흑자 판 물건보다 산 물건이 많은면 경상수지가 적자 경상수지 구성항목 상품수지 : 경상수지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가장 중요(컴퓨터, 타월 등 상품을 판것) 서비스수지 : 각종 서비스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지타산(우리나라 사람이 해외여행가서 쓴 돈이 많은지,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와서 쓴 돈이 많은지를 계산) 본원소득수지 :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국에서 받아 챙긴 각종 이자나 배당이 더 많은지, 해외에 준 이자나 배당이 많은지 이전소득수지 : 아무런 대가 없이 오고 가는 돈(원조를 누가 더 많이 했는지) 경상수지 흑자 -> 경제가 좋아진다. .. 더보기
디지털세(구글세) 디지털세(구글세 google tax)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 매출에 대한 매출액의 일정비율을 법인으로부터 걷는 세금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법인세는 법인의 수익에서 법인세법상 인정되는 비용을 차감한 법인세차감전순이익에 대하여 일정한 세율을 곱하여 세금으로 납부하는 것이지만, 디지털세는 이익에 관계없이 자국내에서 발생한 매출액에 일정비율을 법인으로부터 세금을 거두는 점이 다르다. 법인세율은 통상 영업이익의 20~30% 정도이지만 디지털세는 현재 매출액의 3% 정도로 정하고 있습니다.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등 온라인·모바일 플랫폼 기업의 자국 내 디지털 매출에 법인세와는 별도로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유럽연합(EU)이 추진 중이지만 프랑스·이탈리아 등은 도입 찬성을, 아일랜드·룩셈부르크 등은 반대를 하.. 더보기
G7 & G20 & G2란? 여기서 말하는 G는 Group의 약자입니다. 즉 G7이라하면 주요 7개국의 그룹이라고 말할 수 있다. G7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등 서방 7개 선진국 이들 국가들의 재무장관과 중앙은행총재가 연석으로 1년에 두세 차례씩 세계경제방향과 각국 간의 경제정책협조 조정문제를 논의하는 회동을 G7이라한다. 1997년 러시아가 추가되어 G8이되었다 -> 그러나 2014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침략한것을 계기로 러시아가 퇴출되어 다시 G7으로 됨 G20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항르 하는 20개의 국가가 모여 경제 이슈를 논의하는 자리 G7은 선진국들만 모여있다면 G20은 더 많은 국가가 모여있기 때문에 포괄적인 논의 회의의 주요 내용은 국제금유으이 현황이나 특정 지역의 경제위.. 더보기
브렉시트란? 브렉시트 : 영국(BRitain)이 유럽연합에서 탈퇴(EXIT)하는 것 타 유럽국가 입장에서는 유럽에서 영국이 가지는 인지도나 경제적인 지위를 봤을 때 영국이 탈퇴하게 된다면 유럽연합의 상징성은 물론이고 영향력이 크게 떨어지게 됩니다 브렉시트에 대한 이야기는 2013년부터 진행되었습니다. 영국은 EU 회원국으로 남아 있어도 남는 이득이 없으니 이럴 바에는 탈퇴하자는 주장이 나온 건데요. 브렉시트에 찬성하는 세력들은 주로 기업들이나 유럽연합에 반대하는 사람들인데요. 이들은 유럽연합의 환경규제, 금융규제 등의 여러 가지 규제들에 반대하며 디폴트 위기를 겪었던 그리스와 같이 경제상황이 어려운 국가들에 대한 금융지원에도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영국 내에서는 어떻게 의견이 갈렸을까요? 물론 개인에 따른 차.. 더보기